티스토리 뷰

* 자동물류 시스템을 위한 팔레트 및 컨베이어

본 자료는 '엔지니어링 플러스에 제게된 기획특집 기사입니다.


* 물류와 로지스틱스

- 물류의 의의

  물류(Physical Distribution)란 말 그대로 '물건의 흐름'이라고 할 수 있으며, 흔히 유통의 범주에 포함시키게 되는데, 유통에는 다음과 같은 활동이 있다.
  원래 유통은 상거래 기능을 중심으로 발생한 것이다. 상거래(사회적 유통, 거래유통, 혹은 상적유통)에서는 매입자(소비자)가 판매자(생산자)에게 대금을 지불하고, 상품의 소유권을 생산자로부터 이전받게 되는데, 이것만으로 상품의 흐름이 끝났다고는 할 수 없다. 즉, 상품 그 자체가 실제적으로 판매자에게서 소비자에게로 이전해 가는 활동이 필요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물류이다.
  이렇게 본다면 '유통'이라고 하는 경제활동에는 상거래활동과 물류활동이라고 하는 두가지 측면이 있는 것이다.

- 물류의 중요성

  물류가 중요시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대략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 생산부문의 합리화 즉, 생산코스트의 삭감은 한계에 다다름
 . 물류코스트가 해마다 증가
 . 고객의 요구가 다양화, 전문화, 고도화하여 고객서비스의 향상이 특히 중요시 됨
 . 기업 간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물류에 있어서 앞서 나갈 필요 요구
 . 기술혁신에 의해 포장. 하역. 보관. 수송기술이 진보하고, 정보에서도 진보가 있었음


- 로지스틱스

  로지스틱스(Logistics)란 원래 프랑스어로서, 병참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것은 2차 세계 대전 중에 계량경관학(Operation Research)기법과 함깨 군사목적 수행을 위하여 고안. 발전된 개념이다. 즉, 이 병참은 '작전군을 위해서 후방에서 차량. 군수품의 전송, 보급, 후방 연결선의 확보 등을 담당하는 기능'을 말한다. 그 후 이 용어를 기업 경관에 적용하면서 '비지니스 로지스틱스' 혹은 '마케팅 로지스틱스' 라고 부르게 되었다.


- 다품종시대의 물류

  근래의 다품종소량 물류의 시대라고들 한다. 소비가 성숙되고 가정 내에서도 물건이 포화상태에 이르게 됨에 따라 물건이 잘 팔리지 않는 시대가 된 것이다.
  따라서 메이커는 다양한 소비자의 필요에 대응하기 위해 신제품을 만든다든지, 상품 구색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판매되는 절대량은 그다지 증가 하지 않았지만 취급 상품수는 증가했다.
  한편, 백화점이나 마켓의 경영도 엄격해져 매장효율을 올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정한 매장에 가능한 한 많은 종류의 상품을 진열하려고 하며, 동시에 재고도 적은 수준으로 보유하려고 한다.
  본래 물류합리화의 기본 원칙은 소품종 다량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즉, 흐르는 상품의 수를 줄이고 단위는 크게 하는 것으로, 다품종소량 물류는 기업에 있어서도 물류비의 상승을 초래한다. 그러나 시장이 그러한 필요성을 가지고 있는 이상 다품종소량 물류에서의 치열한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
  제조업체나 유통업체들은 어떻게 하면 다품종소량 물류를 합리적이고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을 지를 연구해야 한다.
  컴퓨터를 사용하여 수주처리. 재고관리. 상품분류 등을 연결하여 처리하고, 치밀한 계획을 세워 배송을 해 나가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그리고 유통센터에서는 파트타임을 소용하거나 자동기계를 도입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처리하며, 트럭의 상.하차 작업도 신속하게 수행해야 할 것이다.


- 자동 물류를 위한 필수 아이템

 1. 팔레트
  팔레트(Pallet)라고 하는 것은 물품을 하역. 수송. 보관하기 위해 단위수량으로 정리하여 싣는 면과 포크 등을 넣을 수 있는 차입구를 가진 하역대를 말한다. 여기에서 '단위수량으로 정리한다'라고 하는 것은 물품을 일정 수량이라든지, 중량 또는 용적으로 하여 그 결과 각각 일정단위로 정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팔레트에는 평팔레트. 박스 팔레트. 포스트 팔레트 등이 있다.

  (1) 평팔레트 : 가장 넓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한쪽 면만을 사용하는 것과 양쪽 면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종래 기업 내에서 사용하고 있던 팔레트는 외부와의 관계가 거의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에 따라 그것의 크기, 구조 및 강도 등이 각각이었으며 그 종류가 많았다. 따라서 팔레트 제조원가의 상승은 물론 각 기업 간 팔레트의 호환이 이뤄지지 ㅇ낳아 물류합리화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2) Box 팔레트 : 평팔레트 위에 상자를 올려 놓은 형태이다. 따라서 세트형 물건이나 여러 종류의 상품을 결합시키는데 사용한다. 예를 들면 공장 내 부품의 격납이나 이송, 그리고 최근에는 배송센터로부터 백화점이나 수퍼까지의 트럭 수송 등에도 많이 쓰이고 있따. 여기에는 적재면 위 박스의 주위를 철망으로 엮은 것, 철관으로 한것, 또는 고정식으로 한 것, 구부린 것 등 여러가지가 있다. 단점이라면 가격이 비싸고, 무겁고, 적재량이 많지 않은 점 등이다.

  (3) 포스트 팔레트 : 팔레트의 4개 모서리에 포스트(기둥)을 부착한 것으로, 위에 많은 힘을 가해도 지탱할 수 있다. 포스트는 고정되어 있는 것, 부착식, 구부릴 수 있는 것 등이 있다.


참고) 관팔레트화 (팔레트 수송)
  관팔레트화란 화물을 수송하는 경우 보내는 측으로부터 받는 측에 이르기까지 일관하여 팔레트로 수송하는 것으로서, '팔레트수송'이라고도 말한다. 이 방식은 스웨덴에서 발달한 까닭에 '스웨던방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관 팔레트화는 열차.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경송중계 지점에 있어서의 하역작업의 합리화, 포장비의 삭감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관 팔레트화는 물건의 흐름을 시스템적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팔레트나 컨테이너의 규격화가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하겠다.
  팔레트는 인력에 의존하던 하역 작업을 지게차가 대신하면서 사용하게 된 것이다. 처음에는 개별기업들이 공장 내의 물자이동이나 보관을 위해 사용했다. 그 다음에는 통운업자가 화물을 화차에 실을 때도 사용하게 되었고, 그 후 화물을 일정수의 팔레트 위에 쌓은 것을 하나의 유닛으로 하여 Door To Door방식에 의해 일관하여 수송하는 방법이 발달했다.
  이것을 일관 팔레트화 혹인 팔레트 경송이라고 한다.
  일관 팔레트화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다. 일본의 경우 특히 트럭수송이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트럭수송만으로 진행되는 수송방식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런 경우에도 일관 팔에트화라고 하지만 이 밖에도 다음에 설명하는 협동 일관 수송도 본래의 의미로서는 일관 팔레트화이다.
  일관 펠레트화를 싱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은 포장비의 절감, 시간과 노력의 정감, 화물파손사고의 감소 등으로 물류비의 대폭적인 절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도입된지 20년이 지난 일본의 경우를 보면 국철 화물 수송량의 2%정도만이 일관 팔레트화를 채택하고 있다. 그것도 종이, 맥주 등에 치중되어 있을 뿐 그 밖에는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사용 후 팔레트의 회수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기업 내의 공장간에는 어렵지 않겠으나 도매상이나 소매점으로 나간 팔레트의 회수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절차가 따르게 된다, 또한 팔레트 위에 쌇아 놓은 물건이 수송도중에 허물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한데, 의외로 비용이 많이 드는 수가 있따. 이 밖에도 거래 단위가 팔레트화 하기에 너무 작거나 큰 경우에도 문제가 있으며 팔레트화로 인해 창출된 이익을 배분하는 것도 명확하지 않다.

참고) 유닛 로드 시스템
  하역이나 수송을 합리화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유닛 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이 있다. 이것은 화물을 일정한 표준의 중량 혹은 체적으로 단위화하여 일관해서 기계력으로 하역이나 운반 또는 수송을 하는 것으로서 하역의 합리화, 하역과 수송의 시스템화에 의해서 화물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유닛로드 시스템은 물적 유통의 시스템화에 있어서 주역을 일컬어지며, 물적 유통의 출발점부터 끝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일관해서 최적 단위화 하여 행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유닛로드 시스템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 하역시의 파손. 오손. 분실 방지
  . 수송 수단의 대기 시간 단축
  . 간편한 포장으로 포장비 절감
  . 검품 작업 간편 - 컨테이너나 팔레트 비용 추가
  . 팔레트 자체의 부피로 인한 적재효율 감소
  . 신규 하역 기계의 추가 필요
  . 자게차 운전을 위한 넓은 야적장 필요

2. 컨베이어(Conveyor)

  지금까지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는 공장 내 혹은 창고 내부에서 원재료나 제품을 운반한다든지, 철광석을 단거리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기걔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벨트 컨베이어에 대한 기술이 급속도롤 발달하면서 새로운 장거리 화물 수송 시설로서도 실용화 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 대량 혹은 연속 수송이 가능
  . 성력 가능
  . 수송 톤당 설비비가 저렴
  . 공해나 사고 위험이 적음
  . 수송시간이 정확함
  . 컴퓨터 시스템 제어가 가능

  이처럼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벨트컨베이어 수송이 지금까지 제한된 범위에서만 이용된 것은 기술적 문제, 채산성, 설치장소의 확보 문제, 과다한 초기투자 때문이다. 이 같은 컨베이어의 종류도 다음과 같이 상당히 다양해졌다.

  (1) 이동 표준형 컨베이어
  이동 타입으로 장소의 이동이 용이하고, 높낮이 조절은 유압 방식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패키지 벨트를 사용한다. 굳이 유압방식이 아니라도 수동타입의 형태로도 사용된다.

  (2) Accordeon Conveyor(자바라 컨베이어)
  직선에서 360도까지 자유롭게, 길이는 접은 길이의 4배까지 활용이 가능하다. 몸체가 가벼운 재료로 만들어져 손쉽게 설치, 철거 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여유롭게 활용하여 상하차할 수 있다.

  (3) Flat Belt Conveyor
  상자는 물론 지대나 부정형의 제품 등 다양한 반송물을 운반하는데 적격이며, 시스템 Layout에서 Line화가 용이하다.
  벨트 컨베이어는 벨트의 제질에 따라서 다양한 용도로 나뉠 수 있다. 특히 Sus Belt가 나옮으로 인해서 활용 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4) Roller Conveyor
  롤러를 운반방향으로 배열하여 화물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로써, 공장 자동화 시스템의 기본형이다.

  (5) Friction Roller Conveyor (Power Accum Roller Conveyor)
  각종 제품의 조립 라인에 최적인 컨베이어로서 팔레트 상에 운반물을 적재하고 진행하면서 필요한 위치에 정지시켜 조립작업, 검사, 수리 포장 등을 행 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 체인의 강제구동으로 회전하는 내륜, 외경의 마찰에 따라 발생하는 Friction Roller의 추진력으로 Pallet의 반송에 적합)이다.

  (6) Free Flow Conveyor
  각종 제품의 조립라인에 최적인 컨베이어로서 팔레트 상에 운반물을 적제하고 진행하면서 필요한 위치에 정지시켜 조립작업, 검사, 포장 등을 행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Friction Roller Conveyor와는 컨베이어의 흐름을 공간을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부품 공급라인의 구성을 자유로이 이행하여 공정관리 및 생산량 증대 극대화한다는 차이가 있다.

  (7) Over Head Conveyor (Trolley Conveyor)
  AMS(Automatic Monorail System)는 Rail Conveyor로 공실의 천정 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하며, 이에 따라 물류 흐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무인 자동의 Material Handing System이다.

-끝- 기타 생략 ..

'FA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상] 타원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장치  (0) 2008.11.21
베어링에 관한 기술자료  (0) 2008.08.09
[재료] 재질별 비중표  (0) 2008.07.2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