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교육의 의미를 기술하고 논하라.

 분석적 기능이란 어떤 명제에 대한 정의의 논리적인 관계를 밝히거나 개념을 명료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분석적 명제에 속하며 개념이 에매 모호할 때 논리적으로 개념을 명료화하는 것이며, 인지적으로 참과 거짓을 밝히는 것으로 교육의 언어와 논리의 관계이다.
 평가적 기능은 비판적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주어진 어떤 준거 혹은 기준, 즉 가치에 비추어 어떤 실천, 이론, 주장, 원리의 만족 도를 밝히며, 해석하는 행위이다. 평가적 기능은 매우 중요한 몫을 한다. 분석적 기능이 좌표 혹은 원리를 명백히 하는 노력이라면 평가적 기능은 그 좌표 혹은 원리대로 교육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다.
 사변적 기능은 정신적 기능이라고도 하며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의견, 제언, 가설, 원리 등을 창출하려는 정신적 기능이다. 존재하는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철학이며, 부분을 전체적인 측면에서 보는 것으로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크다고 생각한다. 부분적 사실이나 경험이 아니라 모든 지식이나 경험에 적용되는 정체성과 체계성을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즉, 사고와 경험의 전체 영역에서 통일성을 밝혀내고자 하는 시도이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여성 해방교육의 방향'이라는 명제를 두고 세 기능에서 바라본다면 분석적 기능은 <여성, 여성해방, 교육>이라는 개념을 명료화할 것이며, 평가적 기능은 <바람직한>이라는 가치판단의 기준을 마련할 것이며 사변적 기능은 <방향>이란 하나의 대안을 마련할 것이다.
 통합적 기능은 하나의 현상이나 과정을 전체로서 파악하고 여러 부분과 차원을 통합하여 이해하려는 행위, 전체를 파악하는 안목이다. 위에 세 가지 기능은 통합적 기능과 독립해서 행하여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그러나 사변적 기능은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현실세계와는 동떨어진 내용이 되기 쉽고, 분석적 기능은 명제, 개념의 명료화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사소한 문제에 빠져들어 아무런 결론을 내지 못하게 되기 쉽다. 평가적 기능의 경우는 사람들마다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명제의 기준을 세워도 사람들에 따라 다른 기준을 세우고 다른 결론이 나올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결론을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2.관념론에 입각한 교육사상

 플라톤은 감각을 통하여 받아들인 지식은 불확실하고 불완전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참된 지식은 이성에서만 나오는 것이며, 이성은 순수한 형상을 분별하는 능력이라 하였다. 우리의 지식체계가 보다 포괄적일수록, 그리고 지식의 관념들이 일관성을 가질수록 진리에 가깝다고 하였으며 이것을 정합설이라 한다. 즉, 모든 관념과 이론은 지식의 계속적 반전체계 내의 일관성에 따라 타당해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므로 관념론은 정신과 마음을 중요시하는 합리론이며 사회보다는 개인을 우선한다. 진, 선, 미와 같은 정신적 가치와 절대적인 것의 추구, 사물의 본질과 근원, 우주의 근본적 원리, 즉 선의 이데아를 추구하며, 이는 이원론적 세계관이다.
 따라서 관념론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성을 신성의 현상에서 완성하는 것이다. 죽, 교사의 목적은 학생에게 많은 정보를 제시해 주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그러한 정보의 내용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학생을 도와주는 데 있다.
  또한 사회보다는 개인을 우선하기 때문에 학생의 잠재 능력과 인격을 존중하며, 자아 실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학생이 막중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관념론은 가치를 중시하기 때문에 현실과 거리가 먼 이상이어서 현실적인 면을 충족할 수는 없다.



3.실재론에 입각한 교육사상

 실재론은 우리가 지각하는 세계는 우리가 관념적으로 재창조한 세계가 아니라 존재하는 그대로의 세계라고 주장한다. 실재론자들에게 있어 어떤 관념이나 명제는 그것이 기술하고자 하는 세계의 특성과 대응할 때 참이 된다. 따라서 참된 지식은 있는 그대로의 세계에 대응하는 지식이다. 또한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지식을 가르치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실재론은 정신보다는 물질을 중요시하는 경험론으로 개인보다는 사회를 중요시한다. 철학자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있고, 실천적 삶의 형식으로 사회적 삶을 위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개인보다는 사회를 중요시하게 때문에 인간의 타고난 본성, 사회적 습관 그리고 정신적 통찰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하여 공동체 안에서 개성 있는 삶을 영위하도록 이끄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학교는 인간의 이성을 개발하는 곳으로 자아, 지식의 발견, 전수 사용하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학생보다 교사중심의 교육이라 볼 수 있다.
 실재론의 교육은 직업교육, 즉 현실에서 사용되는 교육을 중요시하며, 학생들이 진리를 알고 사용하는 습관을 길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재론은 직업교육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너무 교사 중심적인 교육이 되며, 주입식 교육으로 개인차를 무시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