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발췌] http://march.kwedu.net/mm/mm-13.html


제13강의



진보주의(Progressivism)


안녕하십니까? 지난 시간까지 살펴 본 이상주의, 실재주의, 프래그머티즘은 모두 오랜 전통을 가진 것들입니다. 오늘부터는 20세기 초-중반에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던 사조들(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를 검토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Ⅰ. 진보주의의 개념

- 전통적 교육에 대해 반기를 들고 프래그머티즘을 철학적 기초로 하는 교육개혁운동.

- 민주주의적 교육이념, 아동의 창의적 활동 및 흥미, 경험의 중시, 생활 안에서의 교 육, 학교와 사회의 밀접한 연관성 등을 강조.

- 진보주의에서는 전통적 교육을 다음과 같이 비판.

① 주입식 교육

② 교육= 성인 생활에 대한 준비

③ 인류의 사회적 유산의 계승

④ 교육내용의 경제성 : 사회적 이상과 신념의 주입에 가장 효율적인 도구

⑤ 지식의 체계 중시 : 지식 자체의 중시

⑥ 고립된 학교

⑦ 교육과정의 계획성 및 소여성

⑧ 훈련의 조건화


- 이러한 전통적 교육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

① 계발적 교육

② 흥미와 욕구의 충족

③ 자발적 자기실현

④ 교과과정의 현재성

⑤ 방법의 중요성

⑥ 학교의 사회개혁성

⑦ 즐거운 훈련


Ⅱ. 진보주의의 역사

- 진보주의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성인중심, 교사중심에서 아동중심, 학생중심으로의 전 환을 꾀한 교육개혁운동.

- 아동 또는 학생중심의 교육관은 이미 루소, 페스탈로찌, 프뢰벨 등에 의해 발전되어 왔음.

- 미국의 경우, 호레이스 만, 헨리 버나드, 엘렌 케이, 프란시스 파거 등에 의해 발전되 다가 듀이에 이르러 이론적으로 완전히 체계화되고, 킬패트릭 등에 의해 대중화됨.

- 1918년 '진보주의교육협회'가 결성되어, 듀이 및 킬패트릭의 교육사상을 조직적으로 보급함.

- 참고로 '진보주의교육협회'의 강령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은 외적 권위에 의하지 않고 자신의 필요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발달한 자유를 누려야 한다(아동의 자연스러운 발달).

2. 모든 학습과 활동의 동기는 흥미와 욕구의 충족이 되어야 한다(흥미와 욕구를 존중하는 학습)

3. 교사는 아동의 활동을 고무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자가 되어야 한다(안내자로서의 교사).

4. 아동의 평가는 학과에 대한 평가뿐이 아니고, 아동의 신체ㆍ지성ㆍ덕성ㆍ사회성을 포함하는 넓은 것으로서 아동의 발달과 지도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아동에 대한 전인적 이해).

5. 가장 중시되어야 할 것은 아동의 건강이며, 따라서 학교의 시설ㆍ환경ㆍ인적 조건은 명랑해야 한다(아동의 신체적 건강).

6. 학교는 학부모와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면서 아동의 교육에 힘써야 한다(가정과 학교의 유기적 합력).

7. 진보주의 학교는 좋은 전통 위에다 개 것을 담는 실험학교로서 교육개혁운동의 중핵이 되어야 한다(학교의 개혁적 실험성).

- 진보주의는 20세기 초-중반에 미국 교육계를 풍미하다가 1940-50년대에 이르러 경제공항, 세계대전 등으로 인해 장벽에 부딪혀 그 영향력을 상실하고,

- 그러나 다양성, 창의성 등이 중시되는 현재 시점에서 미국에서는 다시 진보주의적 사고방식을 재음미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음.


Ⅲ. 진보주의의 교육원리

1. 교육은 현재의 생활 그 자체이다.

- 교육이란 경험의 지속적인 재구성.

- 제반 지식과 지성을 꼭꼭 쌓아 두었다가 나중에 활용할 것이 아니라,

현재의 경험의 재구성 과정(문제의 해결을 통한)에서 직접 발휘되어야 함.

- 지성의 도움을 받은 또는 지성이 발휘되는 경험의 재구성을 통해 다시 비판적ㆍ지 성적 사고가 함양되어야 함.

- 이러한 과정은 아동의 현재 생활에서 작용해야 가장 효과적.

- 따라서 학교는 사회생활의 축소판이 되어야 함.

2. 학습은 직접적으로 아동의 흥미와 능력에 관련되어야 한다.

- 따라서 학습과정이 미리 주어져서는 안되며,

- 아동의 성장 상태에 맞게 조직되어야 한다.

3. 교육내용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내용을 통해 익혀야 할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하다.

- 지식은 정적인 체계가 아니라 지속적인 변화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활용할 도구이 다. 즉, 경험의 재구성 도구이다.

- 지식은 실천(활동)을 통해 획득되고, 실천을 통해 획득된 지성은 다시 실천화되어야 한다(지식과 실천의 통일).

4. 교사는 지시하고 지휘하는 감독자가 아니라 도와주고 안내하는 조력자이며 안내자이다.

- 학습의 주체는 아동ㆍ학생이다.

- 따라서 교사는 수업을 주도하지 말고, 학생의 자발적ㆍ주체적 학습을 돕고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방면에 걸쳐 많은 능력을 지니 고 있어야 한다.

5. 학교는 경쟁의 장이 아니라 협동적 생활을 배우는 공동체 사회이어야 한다.

- 학교는 민주적 공동체 사회의 모태이다.

- 따라서 학교에서 학생들은 공동체생활에 필요한 제반 민주적 생활양식을 직접 체험 하고 배울 수 있어야 한다.

6. 민주주의만이 바람직한 성장을 가져오는 사상의 교류와 인격의 상호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 민주주의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은 풍부한 의사소통과 평등한 참여에 있다.

- 의사소통과 참여만이 진정으로 인간적인 교섭과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 이상의 내용은 김정환, 강선보 공저(1998), [교육철학], 박영사, pp.161-174에서 발췌한 것임.

'교육철학과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본질주의(Essentialism)  (0) 2008.08.24
12. 프래그머티즘(Pragmatism)과 교육  (1) 2008.08.24
11. 실재주의(Realism)와 교육  (0) 2008.08.24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