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육철학과 역사

18. 분석철학과 교육

그냥이 2008. 8. 24. 22:37

[발췌] http://march.kwedu.net/mm/mm-18.html


제18강의


분석철학과 교육


Ⅰ. 분석철학의 개념


- 전통철학에 대해 정면으로 대항하며 20세기에 등장한 새로운 철학사조

- 과학적, 경험적으로 확인 또는 검증할 수 없는 초월적ㆍ사변적ㆍ형이상학적 요소들을 철저히 배제하고, 감각을 통해 인식 가능한 사실만을 진정한 지식으로 간주하며,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방법을 강조한 실증주의 철학에서 기원.

- 분석철학은 언어와 개념에 사물의 본질이 들어 있다고 보고, 그 언어와 개념의 의미를 명료하게 분석함으로써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려고 함.

- 따라서 분석철학은 어떤 세계관, 인생관을 표명하기보다는 사상의 표현 수단인 언어 및 기호의 분석을 철학의 사명이라고 봄.

- 분석철학은 그 방법과 연구 대상에 따라 다양한 학파가 있으나,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나뉨.

1. 논리 실증주의

- 일상적 언어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철학의 과학화가 어렵다고 보고, 일상적 언어가 아닌 이상적인 인위적, 인공적 언어(기호)를 창안하여 철학을 과학적으로 정교하게 가다듬고자 하는 경향.

2. 일상 언어 분석주의

- 철학은 불가피하게 일상 언어로 표현될 수밖에 없으므로, 일상적 언어를 보다 정교하게 분석ㆍ규정함으로써 철학을 과학화하려는 입장.

결론적으로, 철학의 기능은 새로운 사실이나 원리의 발견이 아니라, 그 사실이나 원리를 표현하는 언어와 개념을 명료하게 다듬어 보다 정확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고 봄.


Ⅱ. 교육(학)에의 적용


- 분석철학에 기초한 교육철학자들은 많은 교육문제들이 주로 언어의 문제라고 주장.

- 예컨대, 피터스(R. S. Peters)는 "교육철학의 역할은 새로운 주의(-ism)나 이념을 발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념들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라고 주장했으며, 오코너(D. J. O'conner)는 "분석철학은 교육철학의 여러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한 방법인 바, 그것은 지식ㆍ교육ㆍ학교 등과 관련된 용어를 검토하고 그 의미를 명료하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

- 따라서 이들은 교육에서 사용되는 많은 용어, 진술 등 제반 언어를 명료하게 가다듬음으로써 교육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믿음.

- 분석철학적 교육철학가는 교사나 학생이 하거나 해서는 안 되는 일을 규범적인 차원에서 진술하지 않음. 즉, 그들은 '학생들이 무엇을 배워야 한다'고 말하지 않고 '학생', '배운다'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설명하고자 함.

- 요컨대, 분석철학자들은 '교육', '훈련', '교수', '학습', '문화', '커리큐럼', '자유', '가치', '도덕' 등과 같은 교육적 개념(도구)의 의미를 분석하고 설명하고자 함.

- 이러한 노력은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모호하게 사용되는 제반 용어들을 정확하게 함으로써 철학과 교육의 과학화, 전문화, 체계화에 어느 정도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음.

- 특히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데 중요한 공헌을 했다고 볼 수 있음. 분석철학은 교사들에게 교육실천에 있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된다는 사실을 시사해 줌.

첫째, 교사는 명확하게 생각하고 의사를 전달해야 한다.

둘째, 교사는 논리학의 공식 법칙을 준수하여 일관성 있게 추리해야 한다.

셋째, 교사의 지식은 객관적이어야 한다. 개인적, 문화적 편견으로부터 탈피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문가에 의해 실증된 것이어야 한다. 증거가 불충분할 때는 확실한 자료가 발견될 때까지 판정을 보류해야 한다.

넷째, 교사는 규범적 명제를 신중히 검토하여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다섯째, 교사는 모든 논의와 토론에 사용되는 언어와 규율을 명백히 해야 한다.

여섯째, 교사는 가정(설), 개념, 이론을 실증하는 데 있어 귀납법을 적용해야 하며, 불분명한 정의, 표어, 은유 등을 바로잡기 위해서 언어분석법을 사용해야 한다.

-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교육(철)학 연구나 실천에서 교육이념, 교육관, 교육목표 등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고, 바람직한 세계관이나 윤리관 확립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피할 수 없음.

'교육철학과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포스트모더니즘 및 구성주의 교육  (1) 2008.08.24
17. 실존주의와 교육  (0) 2008.08.24
16.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0) 2008.08.24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